한국적 국제정치학을 모색하는

국제문제연구소

『세계정치』저널

[세계정치 제30호]러시아와 세계정치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6.20 조회수 6165
첨부파일 file 세계정치30_표지.jpg [240kb]

-러 관계의 좁은 렌즈를 통해서만 러시아를 이해하려는 관행을 탈피하고, 러시아를 진정한 유라시아국가로 이해하기 위한 학술적 도전

 

거대한 유라시아국가로서 다양한 문화(문명)권과 접하고 이들 지역으로의 팽창과 수축을 거듭한 러시아의 역사를 타자의 시선에서 조명한다. 기존의 러시아 관련 연구들이 대부분 러시아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는 것에 반해, 이 책에서는 러시아와 접해 있는 주변의 타국 혹은 타민족의 시선에서 러시아가 이들에게 미쳤던 영향 등을 파악해 본다. 이를 통해 러시아가 주변 국가 및 민족들과 맺고 있는 복잡하고 중층적인 관계의 특성을 부각하고자 한다. 이것은 한-러 관계의 좁은 렌즈를 통해서만 러시아를 이해하려는 관행을 탈피하려는 시도이며, 궁극적으로 러시아를 진정한 유라시아국가로 이해하기 위한 학술적 도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도에서 6개의 사례를 선별해서 다루고자 한다. 러시아제국 혹은 소련 안에 포함되었던 민족/국가 사례로는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중앙아시아 무슬림, 벨라루스가 다루어지며, 러시아의 접경국이었던 사례로는 오스만투르크제국과 이란이 다루어진다. 전자의 사례들은 각각의 민족국가 형성이스라엘, 아르메니아공화국, 중앙아시아 5개국, 벨라루스공화국과정에 미친 러시아의 영향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후자의 사례는 러시아와의 외교 관계나 대러 인식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한편 각 논문은 특정 국가 및 민족이 러시아와 맺어 온 관계를 통시적으로 모두 서술하기보다는, 관계의 특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특정 시기에 한정된다. 따라서 이 책에는 19세기 러시아제국 시기를 다루는 논문부터 소비에트 혹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를 다루는 논문까지 모두 수록되어 있다

.

<저자 소개>

 

책임편집

강윤희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교수

 

지은이

이은정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강사

최아영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객원연구원

강윤희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교수

김태연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강사

김효섭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선임연구원

이주영 국민대학교 국제지역학과 러시아학 석사

고용준 서울대학교 외교학 석사

 

 

<차례>

 

서 문 러시아와 세계정치

 

1장 러-터 관계가 오스만제국의 정책 방향에 미친 영향압둘하미드 2(Abdülhamid II) 시기를 중심으로

I 들어가며

II 19세기 길항하는 러시아와 오스만

III 압둘하미드 2세의 대()러시아 대응 전략과 이슬람주의

IV 나가며

 

2내년에는 예루살렘에서러시아제국의 시온주의 운동과 유대인 귀환, 1882-1914

I 들어가는 글

II 하스칼라(Haskalah)와 포그롬(Pogrom): 19세기 말 러시아 유대인 사회의 초상(肖像)

III 러시아 시온주의 운동의 태동과 전개

IV 맺는 글

 

3장 아르메니아 민족국가 형성과 러시아, 1828-1991

I 서론

II 러시아제국의 카프카스 정책과 아르메니아 민족주의 형성

III 소련의 소수민족 정책과 아르메니아 민족주의의 재현

IV 결론

 

4장 소비에트 정권의 중앙아시아 이슬람 정책의 변천과 그 영향

I 들어가며

II 전전 시기: 이슬람의 제도적사회적 권위 해체

III 전후 시기: 제도화를 통한 국가의 이슬람 관리

IV 나오며

 

5장 벨라루스 국가 정체성과 러시아와의 관계

I 서론

II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벨라루스 민족주의 운동과 국가 정체성 형성

III 벨라루스 민족주의의 쇠퇴

IV 벨라루스 국가-민족 정체성에 대한 대중 인식

V 결론

 

6장 러시아와 이란의 조심스러운 동행전략적 협력의 동인 및 상호인식 분석

I 서론

II 러시아와 이란의 양자관계 변화의 역사적 배경

III 전략적 협력의 동인 분석

IV 밀월관계를 넘어 동맹으로?

V 결론

 

71961년 한·미 경제기술원조협정의 재조명

I 들어가며

II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방향

III 경제기술원조협정 체결의 배경과 교섭 과정

IV 경제기술원조협정의 비준 과정

V 결론에 대신하여

 

 


 

 

 


CLOSE ×

Quick Menu